JAVA관련(3)
-
String, StringBuffer, StringBuilder, StringTokenizer
JAVA에서는 문자열 데이터 타입으로 가장 많이 쓰는 것이 String 이다. 그러나 String은 기초데이터가 아니라 객체데이터인데, 특이하게도 생성자(new)를 사용하지 않고 초기화를 한다. String 변수에는 " "로 문자열을 감싸주면 이를 문자열로 인식해서 값을 넣을 수 있다. String에는 문자열과 관련된 주요 메소드들이 있다. concat(String str) : 저장된 문자열과 str 문자열을 결합 substring(int begin) : 시작 위치부터 마지막까지의 문자열을 반환 int length() : 문자열 길이를 반환 toUpperCase() : 대문자로 반환 toLowerCase() : 소문자로 반환 boolean equals(String str) : 지정된 문자열과 str 문자..
2019.05.22 -
POJO 의 개념
Plain Old Java Object, 직역하자면 오래된 방식의 단순 자바 객체를 의미한다. 표현으로 이해하기는 헷갈린 부분이 많기 때문에, POJO의 경우 몇 가지 특징을 가진 자바 객체로 여긴다. 1. 인터페이스 구현을 강제하지 않는다. 2. 어노테이션 사용을 강제하지 않는다. 3. 클래스 상속을 강제하지 않는다. 위와 같은 특징을 가진 객체를 보통 POJO라고 부른다 기본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POJO에 해당되는 객체 클래스는 흔히 말하는 DTO, Model, Form과 같은 데이터 클래스가 해당되는 경우가 많다. public class SeqGen{ private int seq; private int no; private String prefix; private String suffix; publ..
2019.05.20 -
Enum
enum은 상수로 선언하는 것들의 집합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 final 로 고정하는 기본 자료형의 값을 고정할 때, 클래스가 상수만으로 작성되어 있다면 enum을 사용하는 쪽이 좋다. enum을 사용할 경우 if~eles로 처리해야하는 조건과 분기를 간편화 하기 좋다. 따라서 코드가 단순해지며 가독성이 좋아지고, enum이라는 키워드가 열거의 속성인 것을 통해 구현의도를 명확하게 알 수 있다. enum 타입은 고정된 상수들의 집합으로써 컴파일타임에 모든 값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private로 생성자의 접근제어를 설정해 주어야 동적으로 값이 변동되는 경우를 막을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외부에서 접근이 불가능하므로 final과 다르지 않으며, 인스턴스를 생성하거나 상속받을수도 없다. 따라서 enum타입..
2019.05.16